-
키토시스 진입을 위한 케톤수치는 얼마가 좋을까?카테고리 없음 2024. 2. 26. 10:19728x90반응형
키토제닉 다이어트란 저탄고지 식단을 통해서 몸 속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게 하는 방법입니다. 이 때 우리 몸에서는 인슐린 저항성을 낮추고 당질 섭취를 제한하면서 체내 혈당 수치를 낮춰야하는데요, 이를 위해서는 탄수화물 대신 지방을 많이 먹어야 합니다. 즉, 고지방식을 해야한다는 뜻이죠.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저탄고지’라는 말을 자주 씁니다. 하지만 무조건 고기만 먹는 건 아닙니다.
우리 몸은 포도당을 에너지로 사용하지만 뇌나 근육 같은 주요 장기 기관은 주로 지방산을 이용해서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이때 만들어지는 물질이 바로 케톤체라고 불리는 대사물질이며, 간에서 합성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케톤체는 혈액속으로 분비되어 소변으로 배출되는데 이것이 바로 “케톤뇨” 입니다. 또한 공복상태인 아침에 일어나서 첫 소변검사를 하면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간헐적 단식이란 16시간 동안 금식 후 8시간 동안 식사를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다이어트 방법입니다. 이러한 간헐적 단식을 하게 되면 간과 근육세포 안에 저장돼 있던 글리코겐이 분해되면서 나오는 포도당이 고갈되고, 이로 인해 세포내 미토콘드리아에서 연료로 쓸 수 있는 ATP 생산이 감소하며 결국 체지방으로부터 공급받은 케톤체를 태우면서 에너지를 만들게 됩니다.키토제닉 다이어트를 시작한 뒤에는 본인이 키토시스 상태인지 아닌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가 열심히 식단을 하고 있는데 케토시스에 진입되지 않았다면, 내가 열심히 하고 있는 식단이 잘못되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체크가 필요합니다. 단순히 케토시스에 진입여부는 소변검사로 하는 케톤스틱을 활용할수도 있고, 단순히 소변냄새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현대인들은 수치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죠~~ 그래서 혈중케톤수치를 궁금해 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케톤검사 방법중 가장 정확한 방법으로 케톤체크기기를 통해서 혈중 케톤(베타하이드록시뷰티레이트)의 수치를 잴 수 있습니다. 혈중 케톤농도는 1.5~2.5일때 우리 몸에서 가장 최상의 상태로 케톤체를 만들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때가 체중감량 효과도 가장 크게 나타납니다. 그렇다고 케톤농도 수치가 무조건 높다고 좋은 것은 또 아닙니다. 케톱수치가 2.5이상 나오는 경우 지방섭취가 지나치게 많거나 아니면 만들어진 케톤체가 제대로 몸에서 활용하고 있지 못하다는 뜻일수 있습니다.
그러니 우리는 종종 케톤농도를 측정할때 1.5~2.5를 기억해야 할듯합니다.
반응형